퇴사 후 365일, 내 돈은 얼마나 필요할까?
퇴사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질문
“한 달에 얼마면 살 수 있지?”
이 질문은 단순한 궁금증이 아니라 퇴사 결정 이후 가장 먼저 해야 할 계산입니다.
당신이 아무리 좋은 루틴을 가지고 있어도,
당장 다음 달 카드값이 막막하다면 수익 루틴도 작동하지 않습니다.
현실적으로 퇴사 직후에는 수익이 '0'이거나 아주 작습니다.
따라서 생존 가능한 최소 비용 구조를 설계하지 않으면
어떤 아이디어도 실행 불가능해지고, 결국 다시 ‘불안’으로 돌아갑니다.
퇴사 후 루틴을 자산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
1년간의 생계비를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입니다.
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이 단계를 대충 넘어가고,
그래서 루틴도, 수익도, 시간도 다 무너져버립니다.
생계비의 본질은 ‘루틴 기반 지출’
단순히 “월 200만 원이면 살 수 있어”가 아닙니다.
“어떤 루틴으로 살 것인가”에 따라 비용 구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.
예를 들어:
- 매일 카페에서 글 쓰는 루틴 vs 집에서 글 쓰는 루틴
- 피트니스 센터 등록 루틴 vs 공원 걷기 루틴
- 프리미엄 클래스 수강 루틴 vs 독학 정리 루틴
이처럼 루틴이 곧 지출 구조를 만듭니다.
당신의 1년 생계비는,
당신이 어떤 삶을 루틴으로 살 것인가에 따라
1800만 원이 될 수도 있고, 3600만 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.
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‘희망하는 루틴’을 설정하고
그에 맞는 지출을 최소화된 구조로 다시 설계하는 것입니다.
퇴사 후 생계비 시뮬레이션, 이렇게 시작하세요
- 월 고정비 파악하기
- 주거비, 통신비, 보험료, 교통비 등
- 퇴사 후 줄일 수 있는 항목은 반드시 점검
- 루틴 기반 소비 계산하기
- 루틴에 필요한 구독비, 교육비, 도구 구매비 등
- 투자로 전환 가능한 소비는 구분
- 비상비용 확보
- 갑작스러운 의료비, 예상치 못한 대체소득 공백 등
- 최소 3개월치 ‘비상금’을 별도 확보해두기
- 1년치 총합 시뮬레이션
- 고정비 + 루틴비용 + 비상비용 = 퇴사 후 1년 필요금액
- 목표 금액을 기준으로 ‘버티기 가능한 시간’도 계산
이 계산이 주는 진짜 힘
많은 사람들이 루틴 수익화를 꿈꾸지만
‘시간이 부족해’, **‘돈이 없어’**를 이유로 실행하지 못합니다.
하지만 생계비를 구조화하고, 1년을 버틸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기면
당신의 루틴은 진짜 실행되고,
그 루틴이 수익의 재료가 됩니다.
이 글을 읽고 난 뒤 오늘 할 일은 단 하나입니다.
👉 “내가 원하는 루틴을 기준으로, 1년을 버티기 위해 얼마가 필요한가?”
한 장짜리 시뮬레이션 시트를 만들어보세요.
복잡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.
계산을 시작했다는 것 자체가 수익 루틴의 첫 발걸음입니다.
📌 다음 편 예고
→ 2편. 루틴 점검 – 내 시간과 재능, 무엇이 팔릴 수 있나
당신의 일상 속 루틴이 어떤 방식으로 수익화 가능성이 있는지,
콘텐츠/서비스/디지털 자산 관점에서 분석하는 전략을 알려드립니다.
'자기계발&루틴 이야기 > 퇴사후 1년, 수익루틴 설계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급 없이도 버티고, 성장하고, 수익내는 법 (3) | 2025.08.15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