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투자&재테크 이야기

IRP vs 연금저축 vs ISA – 절세부터 수령 전략까지, 직장인을 위한 실전 가이드 (1편)

by OneTJ 2025. 4. 30.
반응형

IRP, 연금저축, ISA를 비교하는 그래픽 – 직장인을 위한 절세 계좌 전략 안내

왜 지금, 절세 계좌 3총사를 알아야 할까?

연말정산이 다가오면 어김없이 검색창에 오르는 키워드가 있죠.
"연금저축 넣었어?", "IRP로 세액공제 받아야지", "ISA가 비과세라던데?"

정보는 넘쳐나는데, 정작 내 월급, 내 상황에 맞는 최적 조합은 도무지 알기 어렵습니다.

그래서 오늘은
직장인을 위한 IRP, 연금저축, ISA 비교와 실전 활용법
2025년 제도 기준으로 실천 전략 중심으로 풀어드립니다.


각 계좌의 기본 성격, 먼저 짚고 갑니다

  • IRP (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
    퇴직연금 계좌 + 개인 세액공제형 연금 계좌
    • 세액공제 O
    • 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
    • 중도 인출 어려움 (퇴직·연금 목적)
  • 연금저축 (Retirement Pension Account)
    개인 노후자금 설계를 위한 연금 계좌
    • 세액공제 O
    • ETF, 펀드 자유롭게 투자 가능
    • IRP보다 운용 자유도 높음
  • ISA (Individual Savings Account)
    복합 투자용 비과세 계좌
    • 세액공제 X
    • 수익 비과세 한도 제공 (일반형: 200만 원, 서민형: 400만 원)
    • 유동성 높고 운용 범위 가장 넓음

월급쟁이를 위한 전략: 소득 구간별 추천 조합

▶ 연소득 5,500만 원 이하

  • IRP + 연금저축 풀 활용!
    →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
    → 최대 115.5만 원 환급 가능 (16.5% 기준)
  • TIP:
    ① IRP 300만 원, 연금저축 400만 원 자동이체 설정
    ② 매년 12월 31일 이전까지 입금 필수!

▶ 연소득 5,500만 원 초과 ~ 1억 이하

  • IRP + 연금저축 + ISA 3단계 전략
    → 연금계좌 세액공제는 동일하게 받고
    → 추가 여윳돈은 ISA로 자산 분산 + 비과세 혜택

▶ 금융소득 2,000만 원 이상 (고액 자산가 진입자)

  • ISA 적극 활용 필요
    → 금융소득종합과세 회피 + 자산관리 수단
    → 수익 비과세, 만기 후 연금계좌로 전환 가능 (이연 절세 가능)

 

투자 성향별 ETF 조합 예시

보수적 성향이라면?

  • IRP: 국고채 ETF, 우량 채권
  • 연금저축: 배당 ETF 위주
  • ISA: MMF, 단기채 ETF

중립형 성향이라면?

  • IRP: 나스닥100 50% + 채권 50%
  • 연금저축: 글로벌 ETF + 골드
  • ISA: 국내주식형 + 테마 ETF 혼합

공격적 투자자라면?

  • IRP: AI·반도체·2차전지 ETF
  • 연금저축: 글로벌 성장주 ETF
  • ISA: 레버리지 ETF + 직구형 주식펀드

포인트는 '만기 이후' 전략

장기 복리의 진가는 수령 시기에 결정됩니다.

✔ ISA 만기 후, 연금계좌로 이체 가능!

  • 만기 후 연금저축 또는 IRP로 자산 전환 시
    → 투자 수익에 대한 과세를 추가로 이연 가능!
  • 예시:
    ISA 3천만 원 수익 → IRP로 이체 →
   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과세 최적화 + 세율 절감 효과

✔ 수령 타이밍도 전략이다

  • 55세~64세: 연금저축 중심으로 수령
  • 65세 이후: 국민연금 + IRP로 보완
  • 70세 이상: 고령자 공제 활용, 세금 부담 최소화

지금부터 할 일은?

오늘부터 아래 루틴을 실천해보세요.

  1. 각 계좌에 10만~50만 원 자동이체 설정
  2. ETF 포트폴리오 간단히 구성
  3. 연 1회 자산 점검 루틴 확보
  4. 만기 이체 시뮬레이션 연습 (계산기 앱 추천 가능)

 

장기 플랜을 가진 직장인이 진짜 자산가다

IRP, 연금저축, ISA는 '세금 덜 내기 위한 도구'만이 아닙니다.
**10년, 20년 후 당신의 자산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 “시스템”**입니다.

  • 연 700만 원씩 10년 넣으면? 원금 7,000만 원
  • 연 수익률 5% 기준 → 약 9,000만 원 이상으로 불어남
  •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로 분산 수령 = 실질 수익 증가!

마무리: “절세는 시작일 뿐, 설계가 완성이다”

세금 줄이는 법은 누구나 알 수 있어요.
하지만 나의 성향, 소득, 시기를 고려한 전략은 오직 ‘당신’만이 짤 수 있습니다.

다음 편에서는, ‘연금저축 하나로 어떻게 ETF 투자와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는가’를 다룹니다.
‘1인 자산 설계사’가 되는 그날까지, 이 시리즈로 함께 가봅시다.


다음 글로 이동

[2편] IRP vs 연금저축 vs ISA – 당신에게 맞는 조합은?

2025.05.01 - [투자&재테크 이야기] - IRP vs 연금저축 vs ISA – 당신에게 맞는 절세 조합은? (2편)

 

IRP vs 연금저축 vs ISA – 당신에게 맞는 절세 조합은? (2편)

직장인의 자산은 전략에서 갈린다연금저축, IRP, ISA.세 가지 절세 계좌가 있다는 건 알지만, “내 상황에선 뭘 먼저 해야 하지?” 고민되는 게 현실입니다.특히 세액공제, 비과세, 복리 효과, 노후

tinyactbig.com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