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정기점검만 했어도, 이 손실은 피할 수 있었는데…"
ETF는 장기투자 상품이라 믿고 방치했는데,
막상 열어보니 비중은 흐트러지고,
수익률은 뒷걸음질치고 있던 경험, 있으신가요?
문제는 단순히 ‘하락’이 아닙니다.
어느 자산군이 문제인지 모르는 것,
즉, 구조가 흔들렸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가 더 위험합니다.
ETF 리밸런싱을 위해선
단순한 ‘감정적 판단’이 아니라
숫자 기반의 점검 루틴이 필요합니다.
점검은 리스크를 줄이는 최고의 루틴이다
리밸런싱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
‘기록’과 ‘점검’을 습관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
단 3개월에 한 번,
10분만 투자해 아래 항목들을 체크해보세요.
✅ ETF 리밸런싱 점검 체크리스트
- 전체 수익률: 분기 기준 수익률과 누적 수익률을 비교
- 자산군 비중 변화: 목표 비중과 실제 비중 비교
- 성과 상위/하위 ETF: 극단적 수익률 보인 종목 체크
- 시장 상황 변화: 금리, 인플레이션, 지정학적 리스크 등
- ETF 이슈 확인: 운용사 변경, 종목 교체, 합병 이슈
이 5가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만으로도
감정적인 투자 결정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.
구글시트로 만드는 리밸런싱 트래커 (예고)
다음 편에서는 위 체크리스트를 실제 구글시트로 구현하는 방법을 안내할 예정입니다.
자동으로 수익률 계산하고, 비중을 시각화하고,
‘알림표’처럼 다음 조정 시기를 표시하는 방식입니다.
이 자동화 루틴을 만들면
📌 감정적 판단 없이,
📌 정기적으로 계좌를 리셋하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.
구글시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걱정 마세요.
템플릿을 제공하고, 복사해서 쓰는 방식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.
핵심은 ‘내 계좌를 내가 점검할 수 있는 구조’ 만들기
투자의 가장 큰 리스크는 **‘무지와 방치’**입니다.
ETF는 상품이 아니라 시장의 축소판이기 때문에,
작은 흐름 변화만으로도 계좌 구조가 바뀔 수 있습니다.
3개월에 한 번,
지금 당신의 투자 현황을 정리하는 이 루틴은
수익률을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.
다음 편에서 구체적인 리밸런싱 트래커 템플릿을 함께 만들어보겠습니다.
👉 다음 글 예고: ETF 자동화 트래커 만들기 – 구글시트로 리밸런싱 루틴 완성하기
'투자&재테크 이야기 > 분기마다 자동으로 수익구조 만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5편] ETF 리밸런싱 연간 루틴 – 자동화 시스템 만들기 (3) | 2025.08.14 |
---|---|
[4편] ETF 교체/추가 기준 정리 – 리밸런싱 실전 매매 전략 (3) | 2025.08.13 |
[3편] ETF 자동화 트래커 만들기 – 구글시트로 리밸런싱 루틴 완성하기 (1) | 2025.08.12 |
[1편] ETF 리밸런싱,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? – 핵심 원칙 완전 정리 (10) | 2025.08.10 |
《ETF 리밸런싱 루틴 – 분기마다 자동으로 수익 구조 만드는 법》 (4) | 2025.08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