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투자&재테크 이야기/분기마다 자동으로 수익구조 만들기

[3편] ETF 자동화 트래커 만들기 – 구글시트로 리밸런싱 루틴 완성하기

by OneTJ 2025. 8. 12.
반응형

ETF 리밸런싱 자동화를 상징하는 썸네일 – 구글시트 인터페이스, 그래프, 자동화 톱니바퀴 아이콘이 포함된 플랫 디자인 일러스트

“점검해야 하는 건 아는데, 막상 열기 귀찮아서 미뤘어요”

투자자 대부분은 정보 부족이 아니라 실행 부족으로 손해를 봅니다.
ETF 포트폴리오도 마찬가지죠.
점검이 중요하다는 건 아는데,
막상 증권사 앱을 열고, 종목별 수익률을 계산하고,
비중을 따져보는 일이 너무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거예요.

그런데 만약,
📌 자동으로 수익률 계산되고
📌 ETF별 현재 비중이 시각화되며
📌 리밸런싱 시기가 다가오면 알림을 주는
‘나만의 리밸런싱 트래커’가 있다면 어떨까요?

이번 글에선 그걸 직접 만들어보겠습니다.
구글시트만 있으면 됩니다.


STEP 1: 기본 구조 설계 – 수익률 vs 비중 vs 목표

먼저 시트 구조는 아래 3단계로 나눕니다.

🔹 1. 종목 정보

  • ETF명, 티커, 계좌 구분, 섹터 분류
  • 목표 비중 (%) 기입

🔹 2. 실시간 계좌 정보 입력

  • 현재 수량, 평균단가, 현재가
    (현재가는 수동입력 또는 GoogleFinance 함수 활용 가능)

예시: =GOOGLEFINANCE("KRX:148020","price")
(※ 단, 한국 ETF는 일부 수동입력이 필요할 수 있음)

🔹 3. 계산 자동화

  • 현재 평가금액 = 수량 × 현재가
  • 수익률 = (평가금액 – 매수금액) ÷ 매수금액
  • 실제 비중 = 평가금액 ÷ 총 평가금액
  • 리밸런싱 필요 여부 = 실제비중 – 목표비중 ± 5% 이상일 경우 표시

STEP 2: 시각화 – 리밸런싱 대시보드 만들기

📊 추천 구성:

  • 도넛 차트: 실제 비중 vs 목표 비중 비교
  • 색상 경고 표시: 리밸런싱 필요 종목은 빨간색 자동 강조
  • 알림 셀: "조정 필요", "유지" 등 자동 표시

이렇게 시각화하면
매번 복잡한 계산 없이도
👉 어느 ETF를 정리해야 하는지
👉 어떤 자산군이 과하게 편중됐는지
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.


STEP 3: 복사해서 쓰는 템플릿으로 시작하기

J-story 독자를 위해
초기 셋업이 완료된 ETF 리밸런싱 트래커 구글시트 템플릿도 함께 제공합니다.
👉 다음 편에서 제공 예정!

초보자도 쉽게 쓸 수 있도록
✅ 셀 보호
✅ 수식 내장
✅ 편집 가능한 목표 비중 셀
까지 세팅해 두었습니다.

당신은 ETF 종목 이름과 수량만 입력하면 됩니다.
자동으로 수익률 계산, 비중 분석, 리밸런싱 여부까지 한눈에 보이게 됩니다.


루틴의 완성은 ‘도구화’다

ETF 투자에서 중요한 건 ‘선택’이 아니라 ‘관리’입니다.
한 번 구성한 포트폴리오를
분기마다 정기적으로 돌아보는 구조,
그리고 그 구조를 귀찮지 않게 만드는 도구
수익률을 지키는 진짜 무기입니다.

이번 편을 통해
👉 리밸런싱 체크리스트를 ‘시트’로 자동화하고
👉 투자 루틴을 ‘도구화’함으로써
루틴이 습관이 되고, 습관이 성과로 이어지게 됩니다.

다음 편에서는 직접 리밸런싱 실행 루틴으로 넘어갑니다.
👉 예고: ETF 교체/추가 기준 정리 – 리밸런싱 실전 매매 전략

반응형